어쩌다 귀농/귀농을 준비

귀농을 결정하였다면 귀농 시점은 언제가 좋을까요?? 1. 귀농시점. 언제 귀농하는게 좋을까요? 한국은 아직 농업인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면세유라든지 기타 시설자금이라든지.... 특히 정부나 지자체 지원의 사업자금을 받기 위함인데 이것없이 시설을 한다거나 기계를 구매한다거나 등등을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 돈 때문입니다. 이 사업을 지원 받기 위해서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사업의 시점은 연말쯤 계획이 수립되는데 신청시점은 각각 다 다르므로 지자체에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지원사업 자금 신청전에 귀농을 완료해야 하므로 적정한 귀농시점은 바로 그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귀농 완료 시점이란. 귀농을 완료한 시점이 언제냐고 하면 1) 주소를 이전하여..

텃새는 어딜 가든 피할 수가 없을 것이다.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1.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텃새가 덜 심한 곳으로 귀농해야 한다. 텃새가 덜 심한 곳으로 가야 합니다. 그러면 어떤곳이 텃세가 덜 심한 곳일까요? 외지인인 귀농인은 이런정보를 알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내가 다녀보면서 느낀점을 써봅니다. 1) 지세가 완만하고 험하지 않은곳. - 지세의 기운을 무시 할수는 없나봅니다. 아무래도 지형이 척박한곳은의 드센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2) 마을의 집의 상태. - 부농들이 있는 곳은 아무래도 사람들이 여유가 있었습니다. - 집이나 마을이 정비가 되어 있는 곳. 3) 선도 농가를 방문하여 주위의 정보를 얻습니다. - 귀농인이 많은 곳이 아무래도 유리합니다. 제가 귀농한 지..

귀농 교육도 받았고 작목이나 지역을 선택을 했는데 지금부터 뭔가 이상한 걸 느끼기 시작할 것입니다. 1. 땅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 일반적으로 귀농인이 땅 구할때 보통 농지은행을 이야기 합니다. http://www.fbo.or.kr 보시면 아시겠지만 좋은땅은 하늘의 별따기일 겁니다. 좋은땅을 구하기는 역시 그 지역에서 구해야 합니다. 좋은땅은 지역에서 알음알음 지역주민끼리 거래됩니다. 외부인은 잘 알 수도 없고 알 방법도 없습니다. 그런데 도시에 있는 귀농인은 왔다갔다 하면서 구해보려고 할텐데요. 이러면 땅을 절대 못 구합니다. 왜냐하면 일단 외지인들에게는 땅을 안팔려구 합니다. 마을에는 외지인이 들어가면 바로 알게됩니다. 부동산 업자같은 사람이 왔다갔다 하는것을 아주 싫어합니다. 왔다갔다하면 땅값만 ..

귀농을 하고자 한다면 첫번째로 해야 할 일 입니다. 귀농교육은 최소 6개월에서 2년 정도 준비기간을 두는게 좋습니다. 1. 귀농교육 100시간.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농업교육포털에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http://www.agriedu.net 귀농교육을 100시간 이수 하여야 합니다. 교육을 수료 해야 각 지방 자치단체등에서 지원하는 사업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1) 온라인 교육은 교육이수 시간의 50%, 총40시간만 인정합니다. 온라인 교육 80시간을 수강하면 50% 적용해서 40시간만 인정하고 더 많은 시간을 수강해도 인정 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60시간은 오프라인 교육으로 받아야 합니다. 교육은 많이 받으면 받을 수록 유리합니다. 특히 귀농인이 선호하는 지역은 최소 2~300시간 추천 ..

단도직입적으로 귀농하면 돈 번다고??? 그런말 들어보셨습니까??? 녹색창에 귀농 성공사례라고 검색만 해도 수많은 글이 나옵니다. TV만 봐도 그런 사례라고 방송이 자주 됩니다. 1. 귀농하면 돈을 많이 벌어 성공한 귀농인이 될 수 있을까요? 결론만 말하면 돈은 버는 사람만 법니다.지극히 자본주의의 공식이 적용됩니다. Input 한 만큼 output의 공식이 적용됩니다.2. 왜 돈을 많이 벌수 없을까요? 우선 .. 귀농해서 돈을 많이 벌수 있으면 왜 시골사람들이 도시로 나올까요? 연 1~2천만원 벌기도 힘든 사람도 아주 많은게 사실입니다. 1) 농산물 가격은 편차가 심하고 생산단가는 높고, 기후나 시장의 영향에 아주 많이 받습니다. 2) 투입되는 경영비는 오히려 도시보다 많이 투입됩니다. 3) 귀농했을때 ..